Home > 대학원 > 일반대학원
![]() |
식품영양학과 | ||||||||||||||||||
학부에서 길러온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식품영양에 관련되는 학문을 더욱 심화시키고 고도의 정보 및 산업 사회의 적응능력을 과학적인 접근 방법으로 폭넓게 함양하여 이론과 실기를 겸할 수 있는 전문인을 양성함으로써 건강한 가족생활 나아가서는 지역사회의 건강과 국민의 보건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.
가. 최근 식품의 연구 및 개발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식품산업계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인을 양성한다.
나. 최근 영양의 연구 및 급식동향을 파악함으로써 바람직한 식생활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지도자를 양성한다. 다. 최근 비만 등 올바르지 못한 식생활로 인한 각종 질병에 대한 식이요법을 익힘으로써 건강한 식생활로 국민의 보건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지도자를 양성한다.
GFN0001 - 실험설계학(Experimental Design)
식품 및 영양학 연구의 실험계획법을 연구하는 것으로 연구방법에 대한 기초적인 조사지침, 자료분석 및 해석, 논문작성의 기법을 연구한다.
GFN0002 - 영양생화학특론Ⅰ(AdvancedNutritionalBio- chemistryⅠ)
탄수화물, 단백질, 지방등 여러 가지 영양소의 대사와 각 대사경로의 조절작용등을 영양학과 관련지어 고찰한다.
GFN0007 - 식품화학특론(Advanced Food Chemistry)
식품의 일반성분과 특수성분의 구조적인 특징과 성질에 관한 최근의 연구 동향 및 결과들을 전문 학술지와 문헌을 통하여 고찰한다.
GFN0008 - 영양학특론(Advanced Nutrition)
각 영양소별 특징적 기능에 대하여 최근의 연구문헌을 토대로 탐구하고 이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한다.
GFN1038 - 논문세미나Ⅰ(Thesis SeminarⅠ)
석사과정 학생이 논문준비를 위하여 관심있는 분야에 대한 실험방법과 문헌을 고찰하고 토론한다.
GFN1039 - 논문세미나Ⅱ(Thesis SeminarⅡ)
박사과정 학생이 논문준비를 위하여 관심있는 분야에 대한 실험방법과 문헌을 고찰하고 토론한다.
GFN1131 - 영양생화학토론(Advanced Food Preparation)
조리 및 식품의 조리성, 조리기구, 식문화, 심리, 대량조리등에 대하여 발표된 연구를 중심으로 강의 토론한다.
GFN1003 - 식품미생물특론(Advanced Food Microbiology)
식품에 관련되는 세균, 효모, 곰팡이가 식품가공 및 저장시 미생물의 변화 유형, 특성 등을 알아본다.
GFN1004 - 식품관능측정(Sensory Evaluation of Foods)
관능검사의 실시계획과 얻은 자료의 분석과 해석방법을 익히어 식품의 품질검사와 실험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할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.
GFN1005 - 식품효소학(Food Enzymology)
식품에 관여하는 효소의 구조, 조효소와의 관계, 효소단백질의 분리, 효소반응, 생화학적 및 동력학적 특성에 대하여 고찰한다.
GFN1006 - 식품가공학특론(Advanced Food Processing)
식품가공시의 가공방법, 식품의 변화등에 대하여 최근의 연구동향과 결과들을 전문학술지와 문헌들을 통하여 고찰한다.
GFN1007 - 기기분석학(Instrumental Analysis)
식품분석에 많이 이용하는 UV, HPLC, AA, GC, MASS등의 기기에 대하여 분석원리 및 결과해석등을 익힌다.
GFN1009 - 최근식품문제연구(Current Problem in Foods)
식품과학 분야에서 최근에 연구되고 있는 중요한 문제들을 소개하고 연구한다.
GFN1012 - 실험조리특론(Advanced Experiment Chemistry of Cooking)
조리결과에 대한 증명적 실험을 체계화하기 위하여 분야 별 실험내용과 방법을 구축할 수 있도록 연습한다.
GFN1014 - 식품물성학(Food Rheology)
식품의 결과에 미치는 요인 및 측정방법 등에 관하여 강의하고 토론한다.
GFN1015 - 식품위생학특론(Advanced Food Sanitation)
식품위생에 관한 최신의 개념을 파악하고 각종 중독의 이론과 기생충의 문제, 식품공해에 관해서 강의하고 식품위생에 관한 여러 법규에 관하여 토의한다.
GFN1017 - 식품첨가물(Food Additives)
식품첨가물의 성질, 사용방법, 첨가물의 이용방법 및 최근 개발된 신제품의 최신이론에 대하여 강의한다.
GFN1018 - 식품저장학특론(Advanced Food Preservation)
수확 가공된 식품들의 저장방법과 이에따른 영양소의 변화 및 상호작용에 관하여 최신의 연구문헌을 중심으로 분석 비교하고 응용할수 있도록 한다.
GFN1019 - 단체급식운영론(SpecailTopicsinFoodService Management)
단체급식의 전반적인 업무관리 및 특히 경영형태별 급식 관리, 인사, 노무관리, 원가관리 등에 대하여 심도있게 강의한다.
GFN1020 - 발효식품특론(Advanced Food Fermentition)
발효식품의 발효방법과 기작, 미생물, 생화학적 변화, 품질관리, 최근 연구동향 등에 대하여 강의 토론한다.
GFN1102 - 지역사회영양연구방법론(Community Nutrition and Epidemiology)
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영양문제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영양학 연구의 한 방법론으로 관찰을 중심으로한 연구방법을 소개하고 그 응용방법을 토의한다.
GFN1103 - 지질및탄수화물대사(MetabolismofLipidand Carbohydrates)
영양상태에 따른 체내의 지질 및 탄수화물 대사를 중심으로 최신정보 및 연구경향에 대해 강의하고 토론한다.
GFN1104 - 영양조사및평가법(Nutrition Survey and Assessment)
개인 및 집단을 대상으로 영양상태 평가시 필요한 생화학적 검사, 신체계측 임상검사, 생물리적 검사법을 소개하고 영양조사시 이러한 방법의 대상별 응용법을 소개한다.
GFN1105 - 단백질대사(Protein Metabolism)
영양상태에 따른 체내의 단백질 대사를 중심으로 최신정보 및 연구경향에 대해 강의하고 토론한다.
GFN1106 - 무기질및비타민대사(MineralsandVitamins Metabolism)
영양상태에 따른 체내의 무기질 및 단백질 대사를 중심으로 최신정보 및 연구경향에 대해 강의하고 토론한다.
GFN1108 - 최근영양문제연구(Current Problems in Nutrition)
영양학 분야에서 최근에 연구되고 있는 중요한 논제들을 소개하고 토론한다.
GFN1110 - 응용영양학(Applied Nutrition)
영양학의 기본적 이론들이 인구집단의 건강증진 및 영양 상태 현상에 응용하는 사업의 개발, 시행, 평가의 과정을 소개한다.
GFN1111 - 임상영양학(Clinical Nutrition)
인체의 생리적기능의 부적응으로 일어나는 각종 질병의 발생기전과 이를 치료하기 위한 식이의 조절에 대한 이론 및 실제를 소개한다.
GFN1112 - 영양생리학(Nutritional Physiology)
인체의 해부학적 구조유지 및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는 데 관여하는 영양소의 역할 및 생리적 불균형 조절에 관여하는 영양소 및 식품의 기전을 소개한다.
GFN1115 - 영양의특수과제(Special Topics in Nutrition)
최근에 발표되고 있는 국내외 학술지와 전공도서를 중심으로 새로운 영양학 지식과 연구의 동향을 파악한다.
GFN1116 - 특수영양학특론(Advanced Nutrition in Life Cycle)
인생의 Life Cycle을 순회하는 과정을 인체에서 알아본다. 생리적 변화와 이를 조절 및 보완하기 위한 영양소의 요구량 변화, 각 시기의 영양장애의 문제 및 대책을 연구한다.
GFN1122 - 아동영양특론(Advanced Child Nutrition)
인생의 Life Cycle중 특히 아동기의 생리적 변화, 사회문화적 영향을 포함한 환경적 변화가 어린이 영양 및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과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영양적 대책을 연구한다.
|